데이터사이언스/Google Advanced Data Analytics

이력서 형식을 정할 때 참고할 사안

누군가의 이야기 2023. 6. 23. 16:44
728x90

이력서 형식

먼저 이력서의 구조와 레이아웃에 대해 몇 가지 결정을 해야한다. 먼저 두 개의 템플릿을 검토하고 어떤 형식을 가장 좋아할지 정한다. 웹에서 사용할 수 있는 템플릿을 찾아보기도 한다. 다양한 형식을 알아보고 우선순위나 선호도에 대해서 기록한다. 시간을 충분히 들이는게 좋은 결과물로 이어질 가능성이 커진다. 


형식과 템플릿

이력서를 작성하기 전에 몇 가지 디자인을 정해야 한다. 지원하고자 하는 특정 직무에 맞게 이력서의 내용을 조정하거나 변경할 수 있지만, 이력서의 구조와 디자인은 변경할 필요는 없다. 이는 이력서를 어떻게 구성하고 싶은지에 대해 생각하는 데 시간을 보내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력서 형식을 간결하게 할 것.

이력서에는 최상의 형식이 따로 있지 않다. 대신, 내가 무얼 강조하고 싶은지에 대해 생각해보면 좋다.

예를 들어, 관련 업무 경험이 있는 경우 이를 강조할 형식을 선택한다.

 

만약 다른 직무에서 이직하려는 거고 아직 관련된 업무 경험이 없다면, 기술적 역량과 포트폴리오 프로젝트를 강조하는 형식이 적절할 것이다. 일부 이력서 형식은 자신의 경력을 본문의 상단에 요약하여 강조해서 명시하는 반면, 이런 경력을 완전히 배재한 채 기술 및 경험과 같은 것을 적기 위해 공간을 절약할 수도 있다.

 

어떤 형식을 선택하든 한 페이지 안에 담아야 좋다. 이력서는 채용 담당자와 채용 관리자에게 자신에 대한 가장 적절한 정보를 한 눈에 전달하기 위해 고안된 짧은 문서이기 때문이다. 지원자가 수행한 모든 관련 작업을 전부 나열하는 더 긴 여러 페이지의 Curriculum Vitaes와는 다르다

 

만약 고용주가 과거 경력과 수상 경력에 대한 상세한 기록을 원한다면, 경력을 더 상세히 담은 문서를 요청할 수도 있다. 만약 그들이 그렇지 않다면, 항상 간결한 이력서를 선호한다고 생각하면 좋다. 일반적으로 경력이 풍부한 지원자의 이력서는 상급 기술직에 지원하는 2페이지짜리 이력서가 허용되지만, 이는 규칙이라기보다는 예외이다. 데이터 분석가 자리에 지원할 때는 한 페이지로 유지할 것.

728x90